티스토리 뷰

728x90
728x90

Medibloc Logo
Medibloc Logo

매수/매도 권유가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가격은 수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본 가치평가 방법론은 IEO 공모가 산정 및 상장후 적정가치 산출/판단에 유용합니다.

 

안녕하세요. Valuation Veteran Crypto 박입니다. 오늘은 MEDIBLOC의 적정 Crypto Value를 산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치산출에 앞서 간략히 소개를 드리면, Medibloc은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 의료정보 통합관리 플랫폼으로서 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는 MED는 메인넷 MED 코인이며, 메디블록(MediBloc)은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의료정보를 블록체인을 통해 개인이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Mediblock의 주력시장은 전자의무기록이라고 하는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장인데, Covid-19 시기를 거치며 비대면 의료활동 등 관련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유비케어, 비트컴퓨터, 이지스헬스, 포인트닉스, 다솜메디케어, 세나클소프트, 에이치디정션 등이 대표적인 경쟁업체로 언급이 되는데요, 이중에서 우리는 유비케어와 비트컴퓨터에 집중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유는 상장사이면서 가장 유사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일단 아래의 기사 먼저 읽어 보시면 업종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MEDI:GATE NEWS 유비케어 의사랑 시장 1위 지킬까 뺏길까…KIMES서 의원급 EMR 차별화 경쟁

한눈에 보는 KIMES 2022 제37회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전시회(KIMES 2022)가 ‘KIMES, 새로운 희망이 시작되는 곳(Where New Hope Begins)’이라는 주제로 3월 10일부터 13일까지 4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전시

medigatenews.com

㈜메디블록은 벤처기업인 관계로 전자공시에서는 재무정보를 확인할 수가 없고요. 다만 벤처확인기업 공시시스템에서 재무정보를 입수할 수 있습니다. 

중소벤처기업 벤처확인시스템 (smes.go.kr)

 

벤처확인시스템, 벤처확인종합관리시스템

벤처확인 온라인 신청 사이트, 벤처기업 정보공시, 벤처확인기관 운영.

www.smes.go.kr

벤처확인기업 공시를 통해 Crypto Value 산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아래와 같이 정리합니다. 분기자료가 나오지 않는 관계로 결산자료를 활용해 분기시점과 원하는 시점의 Crypto Value를 산출해야 합니다.

메디블록(2023.3)의 공시현황을 정리한 표
메디블록(2023.3)의 공시현황

그리고 영업비용(판매비와관리비)을 통해 Crypto非Crypto를 구분하여 암호화비중(Crypto Weight)을 먼저 구해줍니다. 메디블록은 81.1%로 암호화폐 기업답게 비중이 높은 편에 속하는 군요.

메디블록(2023.3)의 개별IS를 정리한 표
메디블록(2023.3)의 개별IS

이후에는 개별 재무변동표(BS)를 통해 무형자산의 세부내역을 지식자본非지식자본으로 구분하여 정리하고, 나머지 유형BV, 자산총계, 부채BV 등의 수치를 단위에 맞게 아래와 같이 정리해 줍니다.

메디블록(2023.3)의 무형자산BV 및 개별BS를 정리한 표
메디블록(2023.3)의 무형자산BV 및 개별BS

이렇게 정리가 되면 선정된 Peer Group의 P/E Ratio를 구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합니다. 상장된 기업 중에 메디블록과 유사한 사업(EMR, 전자의무기록) 을 영위하는 코스닥 기업으로는 유비케어와 비트컴퓨터가 있습니다. 이 2개 업체의 발생주식수 및 시점별 종가, 그리고 당기순이익(NI, Net Income)을 가져다가 아래와 같이 정리합니다. 

Peer Group(2023.3)의 PER을 정리한 표
Peer Group(2023.3)의 PER

2개 업체의 평균 P/E Ratio는 2022.12월말 42.4배, 2023.3월말 48.5배, 2023.6.21일 46.8배로 나타납니다. 이를 통해 메디블록의 당기순이익(NI)에 곱하여 메디블록의 자본MV(시가총액)를 구해줍니다.

메디블록(2023.3)의 시가총액을 산출한 표
메디블록(2023.3)의 시가총액

그러면 2022.12울말 186억원, 2023.3월말 212억원, 2023.6.21일 205억원이 산출됩니다. 이를 토대로 Crypto Value Formula에 따라 지식자본을 구한 뒤, 암호화비중(Crypto Weight)을 곱하여 산정한 암호화폐 가치를 총발행량으로 나누어 개당 Crypto Value를 구해 줍니다. 그러면 2022.12월 1.06원/개, 2023.3월 1.32원/개, 2023.6.21일 1.24원/개이 나옵니다.  

메리블록(2023.3)의 Crypto Value를 산출한 표
메디블록(2023.3)의 Crypto Value

그런데 이렇게 산출한 개당 Crypto Value가 아래의 그래프를 보면,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수준과 비교하여 터무니 없이 낮은 것을 알수 있습니다. 

메디블록(2023.3)의 시점별 주가 그래프
메디블록(2023.3)의 시점별 주가

그래서 혹시나 가치산출에 문제가 있나 다른 방식으로도 산출을 해봤습니다. 이번에 이용한 방식은 P/S Ratio인데, Peer Group으로 선정한 유비케어와 비트컴퓨터의 P/S Ratio를 구해봤습니다. 

Peer Group(2023.3)의 PSR을 정리한 표
Peer Group(2023.3)의 PSR

2개사의 P/S Ratio를 구해보니, 오히려 P/E Ratio보다 업체간 편차가 더 작은 모습을 보이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편차가 큰 P/E Ratio의 평균보다 편차가 작은 P/S Ratio를 가져다 쓰는 것이 더욱 타당하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 수치를 통해 메디블록의 자본MV(시가총액)을 아래와 같이 산출해 봤습니다.

메디블록(2023.3)의 시가총액2를 산출한 표
메디블록(2023.3)의 시가총액2

이렇게 산출된 자본MV를 보니 P/E Ratio에서 산출한 자본MV와 별반 차이가 없는 모습입니다. 이를 토대로 Crypto Value Formula에 따라 산출한 개당 Crypto Value는 2022.12월 1.14원/개, 2023.3월 1.34원/개, 2023.6.21일 1.32원/개입니다.

메디블록(2023.3)의 Crypto Value2를 산출한 표
메디블록(2023.3)의 Crypto Value2

P/E Ratio를 통해 산출한 개당 Crypto Value와 대동소이 합니다. 

메디블록(2023.3)의 Crypto Value 산출결과를 정리한 표
메디블록(2023.3)의 Crypto Value 산출결과

「암호화폐(가상자산) 가치평가 방법론」에 따라 산출된 적정가치와 실제 거래가격 수준간 큰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저도 나름 고민을 많이 해봤는데, 결론은 소프트웨어 공급업의 특징에서 비롯된다는 점입니다. 

유망한 분야에 대한 소프트웨어 혹은 솔루션 공급시장은 늘상 경쟁이 치열해 왔었고, 그 가운데 대부분의 업체들은 수익확보에 어려움이 많았다는 점입니다. 이는 낮은 주가와 작은 규모의 시가총액으로 연결이 되고, 또 다시  암호화폐 가치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기에 개당 Crypto Value 또한 낮을 수 밖에 없다는 점입니다.

이 같은 점을 비춰봤을 때 현재의 Medibloc의 가격수준은 어마어마한 발행량(84.3억개)으로 인해 이미 낮아 보이지만, 이것 조차도 고평가가 되어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겠습니다.

 

아래에 산출과정을 정리한 파일을 업로드합니다.

MEDIBLOC Crypto Value_FY2023.3.pdf
0.12MB

 


본 가치평가 방법론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가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조해 주세요.

 

[방법론] 암호화폐(가상자산) 가치평가 방법론

안녕하세요. ​20년을 넘게 Valuation 업무를 지속해 오고 있는 Veteran Crypto박입니다. 본 Crypto의 세계를 이끄는 운영자이기도 합니다. 자기 소개는 여기까지. 항간에 기존 전통적인 방식에 의한 암호

eoswos.tistory.com

 

[2nd 방법론] 암호화폐(가상자산) 가치평가 방법론_기업지배구조중심

본 가치평가 방법론은 IEO 공모가 산정 및 상장후 적정가치 산출/판단에 유용합니다. 첫 번째에 이어 두 번째 가치평가 방법론 「암호화폐(가상자산) 가치평가 방법론_기업지배구조중심」을 소

eoswos.tistory.com

 

저작권 유의사항
저작권 유의사항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