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매수/매도 권유가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가격은 수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본 가치평가 방법론은 IEO 공모가 산정 및 상장후 적정가치 산출/판단에 유용합니다.
안녕하세요. Valuation Veteran Crypto 박입니다.
오늘은 오픈소스 블록체인 플랫폼인 AERGO(아르고) Crypto Value의 적정가치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르고는 ㈜블로코가 핵심 기술파트너로 참여하고 있고, ㈜블로코의 2023년 채용정보에서는 기업소개에 AERGO Enterprise 및 AERGO 메인넷의 자체 기술개발에 대해 소개하는 한편, 최근부터는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에 집중하여 블록체인 MSP(Managed Service Provider)를 지향하는 회사로 소개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홈페이지 소개(www.blocko.io/about-us)에서는 2021년도부터 블록체인 MSP 기업으로 전환했음을 천명하고 있습니다.
㈜블로코에 대해서 이렇게까지 소개하는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바로 지향하는 사업의 특성때문에 그렇습니다. 일단 삼성SDS 인사이트 리포트의 내용을 먼저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클라우드의 수혜주로서의 MSP | 인사이트리포트 | 삼성SDS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시장이 확대되면서 온라인 기업은 기본이고 전통 오프라인 기업조차 앞다퉈 디지털 전환에 나서면서 클라우드 시장은 더욱 급성장했습니다. 그렇게 클라우드가 전 산업
www.samsungsds.com
우리는 보고서를 통해, 국내 MSP 시장은 메가존, 베스핀글로벌, 메타넷티플랫폼 등 3개 기업의 주도로 시장이 성장해 왔지만, 2020년부터 삼성SDS, LG CNS, 쌍용정보통신(Peer Group으로 선정함) 등 국내 대형 SI기업과 중소기업까지 뛰어들며 본격적인 시장경쟁이 시작됐다는 점, MSP 기업의 매출은 크지만 CSP(Cloud Service Provider)에게 주는 비용을 고려하면 자체 수익은 크지 않다는 점을 눈여겨 봐야 합니다.
일단 ㈜블로코의 재무정보를 벤처확인기업공시를 통해 가져옵니다. 2022.12월 결산자료만 제출된 관계로, 분기 및 반기 적정가치는 결산자료를 활용해야 합니다.
벤처확인시스템, 벤처확인종합관리시스템
벤처확인 온라인 신청 사이트, 벤처기업 정보공시, 벤처확인기관 운영.
www.smes.go.kr
관련 비용을 토대로 지식자본을 Crypto 및 非Crypto로 분류한 뒤 암호화비중(Crypto Weight)을 아래와 같이 구해줍니다. 타사와는 달리 보기 드물게 100%에 육박하는 암호화비중이 산출이 됐군요.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기술개발에 진심인 회사 같습니다. ㅎㅎ..
그리고 재무상태표를 토대로 무형자산의 세부내역을 정리해줘야 하는데, ㈜블로코는 여느 회사와는 달리 무형자산의 모든 회계계정의 장부가치가 Zero로 나타납니다. 이는 개발비용을 자산처리하지 않고 당해 경비로 처리할 때 발생하는 모습인데, 모두 경비처리를 하고 있나 봅니다. 무형자산은 손쉽게 처리가 되었고, 이젠 유형BV, 자산총계, 부채BV를 단위에 맞게 정리하여 아래와 같이 만들어 줍니다.
그리고 상장사 중 블록체인 MSP 사업을 영위하는 쌍용정보통신의 발행주식수와 시점별 주가를 통해 시가총액을 산출한 뒤, 결산기 매출 및 LTM 기준의 매출을 적용하여 P/S Ratio를 산출해 줍니다. 시점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소수점 둘째 자리로 만들어 놓고 나면 모두 0.16배를 기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이 산출한 P/S Ratio를 ㈜블로코의 2022.12월 매출액에 곱하여 자본MV(시가총액)를 산출한 뒤, Crypto Value Formula에 따라 지식자본을 구하고 여기에 암호화비중(Crypto Weight)을 곱하여 암호화폐 가치를 산출해 줍니다. 그리고 나서 코인의 총발행량으로 나누어 주면, 1개당 Crypto Value가 산출됩니다. 이에 따른 AERGO의 1개당 Crypto Value는 76.4원이 산출이 되는 군요.
이젠 AERGO의 매매가격 수준을 확인해 보면, 1개당 136원 수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적정가치(76.4원/개)보다 약 2배 가까이 높은 모습이고, 대략 2021년도 시점이 적정가치를 보이던 가격수준임을 알 수 있습니다.
AERGO 역시 다른 김치코인들처럼 고평가되어 있는 것 만큼은 분명하나, 터무니 없는 가격수준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래도 메인넷을 만들 수 있는 기술력과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개발이 뒷받침하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아래에는 지금까지 산출한 내역을 정리한 파일을 업로드합니다.
본 가치평가 방법론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가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조해 주세요.
[방법론] 암호화폐(가상자산) 가치평가 방법론
안녕하세요. 20년을 넘게 Valuation 업무를 지속해 오고 있는 Veteran Crypto박입니다. 본 Crypto의 세계를 이끄는 운영자이기도 합니다. 자기 소개는 여기까지. 항간에 기존 전통적인 방식에 의한 암호
eoswos.tistory.com
[2nd 방법론] 암호화폐(가상자산) 가치평가 방법론_기업지배구조중심
본 가치평가 방법론은 IEO 공모가 산정 및 상장후 적정가치 산출/판단에 유용합니다. 첫 번째에 이어 두 번째 가치평가 방법론 「암호화폐(가상자산) 가치평가 방법론_기업지배구조중심」을 소
eoswos.tistory.com

'Crypto의 세계 > Crypto Value 산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KLAYTN Crypto Value_Time series(2023.7.14) (0) | 2023.07.17 |
---|---|
BORA Crypto Value_Time series(2023.7.14) (0) | 2023.07.17 |
SOMESING Crypto Value(썸씽 가치평가)_FY2023.3 (0) | 2023.07.02 |
DKargo Crypto Value(디카르고 가치평가)_FY2023.3 (0) | 2023.07.02 |
MVL Crypto Value(엠블 가치평가)_FY2023.3 (0) | 2023.06.27 |
- Total
- Today
- Yesterday
- Cryptocurrency.Valuation.Methodology
- 가상화폐가치평가방법론
- 위믹스적정가치
- 암호화폐가치평가방법론
- MARBLEX.Crypto.Value
- 카카오게임즈
- 가상화폐
- for.subscriber
- 핵심요약.일반론
- 기업지배구조중심
- key.summary
- 가상자산
- BORA.Crypto.Value
- KLAYTN.Crypto.Value
- 핵심요약.기업지배구조PART1
- LINK.Crypto.Value
- CAL.Crypto.Channel
- valuation
- METADIUM.Crypto.Value
- 코인가격전망방법
- 2차적저작물
- 가치평가방법론
- general.theory
- WEMIX.Crypto.Value
- 다날
- 가상자산가치평가방법론
- PAYCOIN.Crypto.Value
- PLAYDAPP.Crypto.Value
- 암호화폐
- piano.music.collectio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